아이들이 여름방학을 했습니다. 학교 가던 애들이 집에 있으면, 부모들은 잔소리가 부쩍 늘어납니다. 컴퓨터 게임 좀 그만해라, 공부 좀 해라, 책 좀 읽어라, 방학 숙제는 다 했냐, TV 좀 그만봐라... 저도 어릴 적 생각해보면, 방학 때는 부모님의 잔소리를 꼬리에 달고 다녔습니다.
서울 서초동의 정토법당에서 만난 법륜스님, 묻고 답하는 '즉문즉설' 법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계신데요. 마침 방학을 맞이하여 어떤 학부모님이 자녀에게 잔소리 하는 문제에 대해 질문을 했고, 스님의 답변이 이어졌습니다. 스님의 답변이 너무 명쾌해서, 다른 많은 학부모님들에게도 전해드리고 싶어, 제가 오늘 스님께 들은 이야기를 소개할까 합니다.
<사진> 학부모님의 질문하는 모습.
아이의 게으른 행동을 보면서 언제까지 잔소리를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주위 사람들은 엄마로서 당연히 아이의 행동을 바로잡아 줘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잔소리를 안 하고 바라만 보려면 저 자신이 참 힘듭니다. 제 잔소리가 그 아이의 태도를 근본적으로 고치지 못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할 수밖에 없는 제가 답답합니다.
이런 문제는 꼭 부모 자식 사이에만 있는 일은 아닙니다. 부부 사이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일은 누구에게나 어디에서나 생기는 일입니다. 이때에 보통 사람은 애를 나무랐다가 자신을 나무랐다가 왔다 갔다 하며 고민합니다. 그러나 우선, 잔소리를 하는 것도 잔소리를 안 하는 것도 아이 문제가 아니고 내 문제라고 봐야 합니다. 잔소리를 하는 것은 내가 원하는 대로 안 되니까 내 원하는 대로 되라고 잔소리하는 것이고, 잔소리를 안 하는 것은, 내 말을 안 들어 주니까 ‘에라, 모르겠다. 네 맘대로 해라.’고 해서 잔소리를 안 하게 되는 겁니다.
잔소리를 할까 말까 갈등하는 것은 ‘아이를 위해서 하는 게 좋을까, 안 하는 게 좋을까?’를 고민하는 게 아니지요. 사실은 안 하려니 답답하고, 하려니 애하고 갈등을 일으키는 게 싫고, 그래서 둘 중에 어느 게 더 이로울까 재는 것에 불과합니다. 아이를 위해서 고민하는 게 아니고, 어떻게 하는 게 나한테 더 좋을까 고민하는 것에 불과하단 말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백화점 앞을 지나가는데 아이가 “엄마, 저 권총 사 줘.” 했어요. 그러면 엄마는 안 된다고 거절하지요. 장난감 권총 하나 사 달라는 아이에게 안 된다고 할 때에는, 아이를 위해서 좋지 않다고 판단해서 그러는 것이라고 생각하죠.
그런데 아이가 땅바닥에 앉아 울면서 발을 동동 구르고, 고함을 치며 가자고 해도 안 가면, “그래, 그래. 알았다.” 하고 사 주는 경우 있지요? 이럴 때 우리는 ‘너를 위해서 사 준다.’라고 생각합니다.
안 사 주려고 한 것도 자식을 위해서 안 사 주는 것이고, 사 주는 것도 자식을 위해서 사 주는 것이라 생각하지요.
그런데 아이가 울고불고 해서 사 주는 것은 달래려니까 귀찮기 때문에 사 주는 것입니다. 정말 아이를 위해서 안 사 주려고 했으면 아이가 아무리 울고불고 팔짝 뛰어도 안 사 줘야지요. 아이를 위해서 사 준다면 처음부터 사 줘야지 왜 그렇게 괴롭힌 다음에 사 줍니까?
그러니까 나의 문제로 봐야 번뇌가 사라집니다. 아이 문제라고 보는 한 해결책이 안 나옵니다.
ⓒ 전자신문 & 전자신문인터넷
아이가 공부는 안 하고 컴퓨터 게임만 하니 속이 탑니다.
그 아이는 다만 그럴 뿐이지요. 컴퓨터 게임을 할 뿐이고, 놀 뿐인데 그걸 보는 내 생각, 내 기준 때문에 분별이 일어나고 화가 일어납니다. 그걸 보고 내가 못 참아서 문제 삼은 것이기 때문에 아이를 야단치는 것은 내가 화를 푸는 방법에 불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에게는 잔소리가 되는 거지요. 이럴 때 잔소리를 안 해야 한다는 것은, 잔소리를 하고 싶지만 참는 거지요.
이때 자기를 봐야 합니다. ‘아이가 저런다고 내가 왜 화가 날까, 아이가 저런다고 내가 왜 괴로울까?’ 이렇게 문제의 원인을 살펴야 합니다. 내 의견을, 내 취향을, 내 생각을 고집하기 때문에 답답하고 화가 나고 괴롭고 슬픈 것입니다. 그 고집하고 있는 것을 놓아야 합니다. ‘애가 저런다고 내가 왜 화가 날까?’ 이것을 돌이켜보는 거지요. 그래서 화가 나지 않게 되는 것이 수행입니다. 화를 안 내는 게 수행이 아니고, 화가 나지 않는 것이 수행입니다. 화가 나지 않으니까 참을 게 없지요.
이것은 내 문제인데, 내 문제에 내가 어떻게 대응하느냐? 잔소리를 해서 답답함을 푸는 사람도 있고, 그 부작용이 싫어서 참는 걸로 대응하는 사람도 있어요. 잔소리를 많이 하는 사람도 참아 가면서 해요. 참는다는 사람도 가끔 잔소리를 해요. 그러니까 그 비중이 서로 다를 뿐 근본적인 행위는 똑같습니다.
잔소리를 참을 때도, 잔소리를 할 때도 늘 자기를 돌아봐야 합니다. 나를 중심에 놓고 사물을 보는 ‘자기’라는 것이 있는 한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이 ‘나’라는 것이 만병의 원인입니다.
'나'라는 것이 만병의 원인이다... 스님의 말씀이 끝나고 제 가슴에 무언가 '쾅' 하는 깨우침이 있었습니다. 저는 잔소리를 하는게 아이에게 좋을까, 잔소리를 안하는게 아이에게 좋을까, 방법을 들으려고 하고 있었는데, 스님께서는 자기를 돌아봐야 한다고 일갈하신 것입니다. 자기 성질에 못이겨서 아이들에게 잔소리를 한다면, 아이들은 반항심만 생기지 아이들의 행동을 고치는 데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화 나는 자신의 마음을 알아차리고, 마음의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아이들을 위한 올바른 방법이 행동될 수 있음을 다시한번 깨닫습니다.
여러분들은 아이들에게 하는 잔소리... 어떻게 하고 계십니까?
'법륜스님 즉문즉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님에게 연애해봤느냐고 물어봤더니 (7) | 2010.08.09 |
---|---|
남편이 이혼하자며 따귀를 때렸습니다 (181) | 2010.08.06 |
담배 끊는 법, 스님의 답변 (8) | 2010.02.05 |
스님에게 절에 여성들이 많은 이유 물어봤더니 (11) | 2010.02.02 |
사춘기에 접어든 아이, 어떻게 키워야 할까? (4) | 2009.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