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륜스님 즉문즉설

스승의 날이지만 학생들이 수업 안 들어 화납니다

오늘은 스승의 날입니다. 여러분들은 학창시절을 떠올리면 꼭 찾아뵙고픈 선생님 한 분씩 있으신지요? 제 친구들은 그런 선생님은 아무도 없었다고 비아냥거리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우리나라의 슬픈 교육현실을 반영하는 게 아닌가 싶어 씁쓸하기도 합니다. 친구들과 모여 앉아 학창 시절 이상했던 싸이코 선생님 하나씩 이야기하기 시작하면 밤새는 줄 모르고 시간이 지나가지요. 그런데 비단 선생님들만 문제가 있는 걸까요. 선생님들도 말 안 듣는 학생들 때문에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고 힘들어 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다는 것을 주위에서 많이 봅니다. 오늘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강연에서는 선생님들의 말 안듣는 아이들에 대한 질문이 있었습니다.

오늘 스승의 날을 맞이하여 우리들에게 가르침을 주셨던 선생님들의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고민들에 대해 귀를 기울여 보는 것은 어떨가요? 선생님들의 고민들을 충분히 이해한다면, 무조건적인 반항심은 가라앉고, 존경의 마음, 감사의 마음이 자연스럽게 올라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먼저 추천 단추부터 꾸욱    눌러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질문 :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입니다.
저희 학교는 반이 상중하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상위 그룹에 들어가서 수업을 할 때는 수업도 재미있고 기분이 좋습니다. 제가 수학을 가르치는데, 상급 반 아이들은 수학 내용뿐만 아니라 좋은 이야기를 해 주어도 호감을 갖고 이해도 잘 하는데, 중․하반에 들어가서 얘기를 하면 수업 내용도 안 듣고 좋은 이야기를 해 주어도 잘 안 들어요. 특히 문과의 고3 아이들은 거의 다 포기해 버리고 수업을 듣지 않습니다. 그럴 때는 화도 나거니와 제 자신이 수업을 하면서 비참해집니다. 스승의 날인데, 이런 아이들을 생각하면 가슴이 답답해집니다. 이럴 때 어떻게 마음을 먹고 어떻게 지도를 해야 할지 무척 갈등이 됩니다.

▶ 법륜스님 :

억지로 마음 다스리려 하지 말고 솔직하게 아이들과 얘기해 보세요

참 중요한 문제입니다. 마음을 자꾸 다스리려고 하지 마세요. 마음을 다스리려고 하면 자꾸 화가 차게 됩니다. 기분이 나쁜데 이것을 자꾸 억누르면 겉으로는 웃을지 몰라도 얼굴이 밝지 않고 배우처럼 겉으로만 웃게 됩니다. 그러니까 그럴 때는 오히려 솔직하게 애들하고 얘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가 너희들한테 공부를 좀 가르치려고 하는데 너희가 안 들으니까 선생님이 기분이 무척 나쁘다. 어떻게 하면 좋겠니? 우리 같이 의논 한 번 해 보자.”

이렇게 자신의 기분을 솔직히 얘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도 ‘우리가 이러면 선생님이 기분 나쁘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들이 다 내 말을 들어야 한다는 집착이 괴로움을 불러와

이렇게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얘기를 하면 애들이 안 듣기도 하고 듣기도 하는데, 교사들은 ‘내가 이렇게 얘기를 하면 모든 아이들이 다 내 말을 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들이 명심해야 될 제일 중요한 수칙은 내가 누군가의 인생을 책임질 수도 없고 변화시킬 수도 없다는 것입니다. 아이들을 조금 도와줄 수는 있지만 아이들 인생에 큰 변화를 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학생들에게 좋은 정보를 제공할 뿐 선택을 강요할 순 없음을 아셔야

선생님들은 주로 학생들이 자기 말을 들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지요. 우리는 인생을 변화시킬 수 있는 좋은 정보를 제공할 뿐이지 그것을 선택하고 안 하고는 상대의 의지에 달려 있다는 것을 늘 명심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게 잘 안 되거든요. ‘왜 이렇게 안 하느냐?’ 하고 야단을 칩니다. 그러나 그 선택까지 강요할 수는 없다는 것을 확실히 알고 있으면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괴로울 일이 없습니다.

내가 가르치면 애들이 다 알아들어야 한다고 생각하지 말 것

또, 어떻게 설명을 해도 모든 아이들이 다 알아들을 수는 없습니다. 한 명에게 설명을 해도 다 못 알아듣는데 하물며 50명을 앉혀 놓고 강의를 하는데, 그 중에 알아듣는 사람도 있고 못 알아듣는 사람도 있는 게 당연한 것 아니겠어요?

저도 예전에 물리학이나 화학을 공부하면 아주 재미가 있고 무슨 말인지 금방 알아듣겠는데, 영어 시간에는 무슨 소리를 하는지 통 못 알아듣겠습디다. 잘 하는 것은 자꾸 하고 싶고 못 하는 것은 자꾸 하기 싫은 것이 인간의 심리입니다. 그러니 수학을 예로 들면, 앞에 간단한 보기가 있고 예제가 있고 그 다음에 약간의 응용이 있고, 그리고 시험에 대비한 단계까지, 높낮이에 따라 4단계로 학습을 한다고 하면, 잘하는 반에서는 다 가르치고, 중간급에는 맨 밑엣 것을 빼 버리고 가르치고 하급반에서는 원리와 기초를 처음 가르치듯이 다시 가르쳐야 합니다. 모든 반에 들어가서 똑같이 하려고 하면 안 됩니다. 공통 수학의 기본적인 것이 안 된 아이들한테 미적분을 가르치면 무슨 말인지 모르거든요. 선생님이 설명할 때는 아는 척하지만 실제로는 모른단 말이에요.

내 강의를 들으면 좋지만 딴 짓하는 아이도 있을 수 있음을 인정할 것

제가 조언하고 싶은 것은, 내가 가르쳐서 애들이 다 알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라는 것, 그리고 내가 강의해서 들으면 좋지만 딴 짓하는 아이도 있을 수 있다는 걸 인정하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가능하면 관심을 끄는 방법을 좀더 연구해야 하겠지요. 선생님은 어쨌든 애들이 이해하기 쉽고 기억하기 쉽도록 해 줘야 합니다.

질문 받을 때 두려움이 생기는 것은 내가 모든 것을 알아야 한다는 강박관념 때문

또한 아이들이 무엇을 모르는지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많이 안다고 좋은 선생님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보통 선생님들이 많이 알면 자기 아는 자랑만 하다가 끝나는 경우가 많거든요.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것은 질문을 받는 것입니다. 요즘 대부분 선생님들이 질문 받기를 매우 꺼립니다. 자기가 아는 것만 가르쳐주고 가 버리면 문제 될 것이 없는데, 질문을 받으면 들통 날 위험이 있잖아요. 그러나 질문을 받을 때 선생님은 아무 두려움도 없어야 합니다. 두려움이 생기는 것은 내가 모든 것을 알아야 한다는 강박 관념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자신이 모르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질문을 받아야 합니다. 만약에 모르는 것이 있으면 ‘나도 지금 어떻게 하는지 금방 생각이 잘 안 나는데, 찾아보고 다음에 얘기해 줄게.’ 이렇게 말하는 것이 아무렇지도 않아야 합니다. 그러면 질문 받는 데 두려움이 없어집니다.

학생들한테 질문을 많이 받아야 아이들이 무엇을 모르는지 내가 알 수 있고 또 내가 무엇을 더 준비해야 할지 알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 질문이라는 것은 내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내가 일방적으로 강의하는 것은 내 발전에 도움이 하나도 안 되지요. 어차피 알고 있는 것을 가르치니까. 그런데 질문을 받는다는 것은 그 중에 내가 모르는 것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내가 다시 한번 생각해 보고 정리하는 기회가 됩니다. 그래서 질문 받는 것을 꺼리지 않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그러면 수업 시간에 편안하게 학생들을 대할 수 있습니다.

‘내가 얼마나 아느냐’가 아니고, ‘모르는 아이들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느냐.’

중요한 것은 ‘내가 얼마나 아느냐’가 아니고, ‘모르는 아이들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느냐.’입니다. 모르는 아이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두 가지가 필요합니다. 하나는 애정입니다. 아이들은 하나라도 더 깨우쳐 주려고 하는 교사의 애정에 비례해서 선생님을 존경합니다. 다음은 기술입니다. 기술은 지식을 많이 아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무엇을 모르는지 충분히 파악하는 데에서 시작됩니다. 아이들 입장에서 ‘지금 이렇게 가르치면 뭐가 문제가 될까?’ 하고 생각하며 강의를 하면 문제가 좀 쉽게 해결될 것입니다.

△ 사진_ 제주 동남초에서 스승의 날 기념행사가 열려 어린이들이 교사 가슴에 카네이션을 달아주고 있다. 사진제공=동남초

질문하신 선생님의 표정이 밝아집니다. 말안듣는 아이들에 대해 답답했던 마음이 많이 풀리셨나 봅니다. 내 이야기를 모든 아이들이 다 알아들어야 하고 딴 짓도 하지 말아야 한다는 집착이 모든 괴로움을 불러옵니다. 좀 더 마음의 여유를 갖고, 아이들 입장에서 서서 ‘아이들이 무엇을 어려워하고 있는 걸까’ 이렇게 애정을 갖고 연구한다면 실제로 아이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존경받는 선생님이 될 수 있겠지요. 돌이켜 보면 저는 학창시절에 저에게 조용히 다가와서 “무엇이 어렵니? 선생님이 도와줄까?” 이렇게 말씀해 주시는 선생님들이 계셨습니다. 그 때 얼마나 고마움을 느꼈는지 모릅니다. 지금 생각해도 찾아가서 감사한 마음만 가득하지요.

오늘 스승의 날을 맞이하여 선생님들은 좀 더 학생들의 입장에 서서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도움을 주려하고, 학생들은 선생님의 입장에 서서 선생님이 우리들을 가르치실 때 어떤 어려움들이 있으신지 이해해서 개선해 나간다면, 행복한 교실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 스승의 날이 되도록 함께 만들어가면 좋겠습니다.